치매와 건망증 차이 TOP 3, 치매일까? 건망증일까?
나이가 점점 들어갈 수록 여러가지 질병의 발병률이 높아지면서 건강에 대한 걱정이 많아집니다.
각종 심뇌혈관 질환은 물론이고 그중 노인들에게서 흔히 보이는 "치매" 역시 우리를 불안하게 하는 질병입니다. 종종 친구들과의 약속을 잊어버린다거나, 평소에 잘 챙기던 물건들을 자주 잃어버린다거나 할 때면 건망증이 심한건지 혹시 치매인지 간혹 헷갈려하곤 합니다. 오늘은 치매와 건망증의 차이점 5가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뇌손상으로 인한 퇴행성 질환 VS 자연스러운 노화
치매는 이전에는 다른사람의 도움없이도 일상생활하는데에 큰 무리가 없던 사람이 알츠하이머병 이나 기타 다른 원인에 의해서 뇌기능의 손상을 입어 기억력이 크게 저하되어 일상생활을 할 때에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수준에 이르기게 되는 뇌혈관질환입니다. 치매의 원인을 세부적으로 나누면 수십가지로도 나뉘지만 대표적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알츠하이머병이나, 뇌경색이나 뇌출혈이 발생한 이후에 나타나는 혈관성 치매, 반복적이고 과도한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알콜성치매로 나눠지며 퇴행성 뇌질환으로 반드시 치료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에 반에 건망증은 사람의 신체기능이 노화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기억력이 감퇴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하지만 종종 젊은 사람들에게도 건망증이 심해지거나 기억력의 감퇴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직장생활이나 일상생활에서 극도의 불안한 상태나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상황, 또는 과도한 업무량으로 인해 한가지 일에 온전히 집중할 수 없는 등 극한의 상황일 경우에 발현되는 일시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크게 염려할 필요는 없습니다.
2. 기억의 일부 VS 완전 소실
우리가 치매와 건망증을 혼동하는 이유는 바로 기억을 잘 하지 못한다에 집중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기억을 잘 하지 못하는 현상에도 치매와 건망증은 분명한 차이를 보입니다. 예를 들어 딸 2명과 아들 1명을 둔 어머니가 명절을 맞아 온가족과 함께 즐거운 저녁식사를 했다는 상황을 가정해 보겠습니다. 건망증일 경우에는 일주일 뒤에 명절때의 상황을 물어보면 명절에 정확하게 누가 왔었는지, 무엇을 먹었는지 잘 생각이 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옆에서 누군가 상황에 대해서 어떠한 힌트를 주거나 기억이 되살아날수 있도록 도움이 될 만한 단어를 알려준다면 기억이 바로 되살아 납니다. 기억의 일부가 소실되었다가 다시 살아나는 것입니다. 하지만 치매의 경우 동일한 사건에 대해서 일주일 뒤에 물어보면 전혀 사건자체에 대해서 기억 자체를 하지 못합니다. 뿐만 아니라 누군가 상황에 대한 힌트를 주거나 기억이 되살아날만큼의 도움을 주어도 사건에 대한 기억이 완전히 소실되어 기억할 수 가 없습니다.
3.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독립적인 일상생활 불가능 VS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독립적인 일상생활 가능
건망증과 치매의 가능 큰 차이점 또다른 하나는 다른사람의 도움없이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입니다. 치매는 퇴행성 뇌질환이기 때문에 기억력의 감퇴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인지적, 행동장애가 수반되며 병이 진행될 수록 옷입기, 식사하기, 양치하기, 배변하기 등과 같은 아주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스스로 할 수 없게 됩니다. 또한 판단력이 매우 흐려져서 기본적인 판단을 할 수 없게 되고 사람에 따라서는 폭력적인 언어나 행동을 보일 수 도 있습니다. 따라서 보호자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로하며 스스로는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건망증일 경우라면 기억력이 다소 떨어지는 것 이외에는 신체의 동반되는 기타 질환은 없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도 일상생활을 충분히 스스로 활동할 수 있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억력이 감퇴 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치매라고 단정 지을 수 없으며 기억력의 감퇴와 함께 또 다른 신체적 증상이 동반되어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는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로 치매와 건망증을 구분할수도 있습니다.
4. 마무리
누군가에는 치매는 암보다도 걸리기 싫고 무서운 질병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소 건망증이 있다고 해서 치매가 의심된다면 오늘 글을 자세히 읽어보시고 건망증과 치매에 대해서 확실히 구분하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직성 척추염 증상과 원인 및 치료방법, 아침에 허리가 뻣뻣하다면? (0) | 2024.01.22 |
---|---|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 vs 부분치환술 완벽 비교, 뭐가 더 좋을까? (0) | 2024.01.22 |
신생아 사경증 증상과 치료방법 완벽정리! (1) | 2024.01.21 |
림프부종 원인과 증상 및 암치료 후 관리방법 (0) | 2024.01.21 |
족저근막염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자고 일어나서 첫 발이 찌릿하다면 의심! (0) | 2024.01.20 |
댓글